본문 바로가기

카라멜츠/마케팅 트렌드

찐팬이 만들어가는 <팬덤마케팅>

팬덤은 공통적인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들과 함께 공감과 우정의 감정을 특징으로 하는 팬들로 구성된 집단 혹은 하위문화를 말한다. TV의 보급과 대중문화의 확산으로 기존에 형성된 팬덤이 사회적,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면서 오늘날 이를 '팬덤 문화'라고 지칭하게 되었다. 좋아하는 아티스트를 '최애'로 지칭하며 소위 '덕질'을 하는 10, 20대의 문화와 매우 비슷한 모습이 기업과 이용자들의 모습에서도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기업과 이용자들이 스타와 팬의 관계처럼 똘똘 뭉친 성공적인 팬덤 마케팅을 만들어 가고 있는 브랜드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스타트랙 포스터 / 벌칸족들의 인사

'TREKKIES'는 미국의 사이언스 픽션 드라마 스타트렉의 열성적인 팬덤을 지칭하는 말이다. 너무나도 유명해져 영어사전에도 정식 등재가 된 명칭인데, 스타트렉은 미국 내에서 수많은 문화산업에 영향을 미쳤고 실제로 많은 드라마에서 괴짜, 별종을 뜻하는 단어 'geek' 한 캐릭터의 메타포로 자주 사용되는 콘텐츠가 바로 스타 트렉입니다.

 

셜록홈즈

현대에 들어 최초의 팬덤 문화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서 코난 도일이 집필한 셜록 홈즈라는 소설이다. 해당 소설의 팬층이 워낙 두터워 극성팬클럽인 셜로키언(미국 팬), 홈지언(영국 팬)이라고 따로 지칭하는 말까지 생겨났다. 1893년 소설 내에서 홈즈가 죽임을 당한 후 셜록 홈즈 팬들은 홈즈의 죽음을 애도하는 공개 시위를 열고 이후의 이야기를 팬들이 직접 만들어 발행하는 등의 팬들이 콘텐츠에 가담하게 되는 사례까지 발생한 팬덤이다.

 

팬덤마케팅은 이용자들의 무조건적인 사랑, 지지를 얻어내는 것에 더욱 초점을 맞춘다다. 기업에서 제공하는 특별한 혜택 없이도 이용자들은 브랜드의 가치를 완전히 이해하고 그들의 문화를 향유하며, 소속감을 느끼고 이를 다른 이들에게 나누게 된다. 꾸준하게 소통하며 팬덤과의 유대감을 깊게 만들고 관계를 쌓아 나가며 이용자들의 힘으로 새로운 유입을 도모하며, 유입된 신규 이용자들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그들의 문화를 학습하게 되며 어느새 열렬한 팬이 된다.

 

할리 데이비슨

1960년, 미국 시장에서 큰 입지를 가지고 있었던 할리 데이비슨은 날렵하고 가벼운 모터사이클을 생산하는 일본 기업들의 제품이 큰 호응을 얻고 있던 시기에 미국의 레저용품 회사인 AMF가 할리 데이비슨을 인수하게 된다. 인수 후 이용자들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자사 제품의 핵심 이념을 버리고 '가벼움'을 선택하게 되었는데, 기존에 묵직하고 거창한 모델들을 생산하던 할리 데이비슨은 경량급 오토바이 시장에서 일본과 경쟁하던 와중 기존 팬들도 잃게 되는 불상사를 겪게 된다. 그들은 급속도로 추락하기 시작했고 결국 1984년, AMF의 경영 방침에 반대하는 기존 할리데이비슨 13명의 임원진들이 합심하여 할리 데이비슨을 다시 매입하고 독립하게 된다. 이후 할리 데이비슨은 'The Eaglwe Soars Alon(독수리는 홀로 비상한다)' 라는 캐치 프레이즈로 미국 내 장거리 랠리를 기획, 호그: HOG(Harley Owners Group-할리 데이비슨을 소유하고 같은 라이프스타일을 공유하는 커뮤니티)라는 커뮤니티를 결성하여 점차 할리 데이비슨만의 문화를 만들어갔다. 임원진들이 직접 몸에 문신을 새기고 자사 고유의 가죽 의상을 입는 등 기존 팬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강조하며 다시 일어나는 데 성공한다.

 

포켓몬빵 띠부띠부씰

90년대생 국민들의 초등학교 추억을 담당한 포켓몬스터 빵의 띠부띠부 씰은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다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PVC 방수 소재로 만들어진 터라 접착력이 강하고 떼어내고도 흔적이 남지 않았던 획기적인 스티커였다. 이 스티커가 인기를 끌었던 이유는 1번부터 151번까지의 다양한 포켓몬스터 종류와 151종에 대한 수집욕이다. 당시 포켓몬스터 빵의 추억을 잊지 못한 아이들은 어느새 구매력이 강해진 성인이 되었고 "구매로 혼쭐을 내주겠다, 출시만 해달라"라는 요청이 무수히 쏟아지게 되었다. 샤니를 인수한 현재의 SPC삼립은 이 팬덤을 이용하는 선택을 하게 되었고 현재까지도 포켓몬스터 빵의 품귀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카라멜츠

사람들의 마음속 달콤하게 녹아드는 광고를 만드는 카라멜츠_Caramelts 입니다.

caramelts.co.kr